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맞춤법] '로서 로써' 구분하기!

by 잡화점주 2021. 1. 8.
반응형

 

 

'로서 로써' 구분하기!

 

 

 

'로서 로써'

 

너를 너로서..?

너를 너로써..?

(임창정 노래 제목...ㅎㅎ 아재요..)

 

 

 

'~로서' 와 '~로써' 는 모두

 

앞에오는 단어를 설명하는 조사로 사용이 됩니다.

 

하지만 발음상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사실상 똑같...)

 

글로 쓰는 경우에 무척이나 혼동하기가 쉽습니다.

 

 

 

 

고등학교 언어 시험 시간에

 

해당 문제가 맞춤법 문제로 나왔던 기억이 있네요.

 

절대 전부 공부를 할 수 없어서

 

가장 짧지만 가장 어렵다는 맞춤법 문제...ㅠㅠ

 

(그래서 전 틀렸습니다.. 그래서 기억이 더 잘 나네요ㅎㅎ)

 

 

 

 

'로서 로써' 구분하기!

 

시작해볼까요!

 

 

 

 

 

 

 

 

우선 '로서 로써' 는 활용하는 경우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지 정의를 볼까요.

 

 

 

 

[ ~로서 ]

 

 

1. 자격이나 지위를 나타내는 단어의 뒤에서

앞의 자격이나 지위를 가진 것의 역할을 설명하는 경우

 

예시) 부모로서, 선생님(으)로서, 학생(으)로서

 

 

2. 특정 사건이나 동작이 시작된 시점을 표현하는 경우

 

예시) 이 사건은 너로서 시작 되었다고 생각한다.

 

 

 

 

[ ~로써 ]

 

 

1. 수단이나 방법, 재료를 나타내는 단어의 뒤에서 활용

 

예시) 이것은 가죽으로써 구두를 만들 때 사용한다.

 

 

2. '시간'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경우

 

예시) 올해로써 벌써 10년이 되었다.

 

 

 

 

 

사실 '로서 로써' 두 가지의 경우 모두

 

두 번째 설명된 뜻은 잘 사용하지는 않아요.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른 말로 대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가 잘 구분해야하는 뜻은

 

첫 번째 설명된 활용입니다.

 

 

바로 자격(로서)인지 수단(로써)인지 말이죠~

 

 

 

 

 

전통적인 구별 방법으로는...

 

[ ~을 가지고, ~을 사용해서 ] 를 넣어서

 

자연스러운 경우에는 '~로써'를 사용하구요.

 

 

[ ~(이기)때문에 ] 를 넣어서

 

자연스러운 경우에는 '~로서'를 사용한다고 하네요^^

 

 

 

 

 

 

 

 

약간 야매같은 느낌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는데요..ㅎㅎ

 

 

 

쉽게 구분하는 법은..

 

자격은 주로 사람의 뒤에 붙고

 

수단은 주로 물건의 뒤에 붙잖아요.

 

 

 

사람은 ㅅ이니까 로'서'

사물은 로'써'

라고 기억하셔도 편하고.

 

 

느낌적으로 물건은 된소리로 '로써!!'

라는 방식으로 기억하셔도... 편하실대로ㅎㅎ

 

 

 

 

 

'로서 로써' 구분하기

 

 

어떠셨나요?

 

처음에는 또 헷갈리실 수도 있지만

 

차츰차츰 기억에 선명하게 남지 않을까 합니다^^

 

(저처럼 시험에서 틀리면 가장 기억에 잘납니다ㅎㅎ)

반응형

댓글